2025년 9월 12일 (금)
- 01:212025년 9월 12일 (금) 01:21 태조엔지니어링 (역사 | 편집) [40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edirect:(주)태조엔지니어링])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8월 13일 (수)
- 07:502025년 8월 13일 (수) 07:50 한국전력기술(주) (역사 | 편집) [5,471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CompanyInfobox |이름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영문명 =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로고 = 국문가로 03.jpg |설립일 = 1975년 12월 10일 |본사 =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1로 27 |업종 = 전력 플랜트 엔지니어링 |대표자 = 이배수 |자본금 = 2,248억 원 |자산총액 = 3,287억 9,690만 원 (2025.3 기준) |매출액 = 1,346억 5,188만 원 (2025년 1분기) |영업이익 = 65억 1,171만 원 (2025년 1분기) |...)
- 07:282025년 8월 13일 (수) 07:28 (주)태조엔지니어링 (역사 | 편집) [7,832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CompanyInfobox | 설립 = 2002년 8월 6일 | 대표 = 한명식 | 업종 = 종합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기업 분류 = 중소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 매출액 = 418억 원 (2023년 기준) | 자산 총액 = 328억 7,969만 원 (2023년 기준) | 직원 = 337명 (2024년 기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송파구 | 웹사이트 = http://www.teso.co.kr/ | 사진 = 태조엔지니어링.JPG }} == 개요 == 태조엔지니어링은 “자연을 설계...)
- 07:242025년 8월 13일 (수) 07:24 엔지니어링 대상 (역사 | 편집) [4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7:242025년 8월 13일 (수) 07:24 엔지니어링대상 (역사 | 편집) [4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25년 8월 6일 (수)
- 04:552025년 8월 6일 (수) 04:55 침매 (역사 | 편집) [2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침매터널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1:562025년 8월 6일 (수) 01:56 엔지니어링 위키 작성 가이드 (역사 | 편집) [3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2025년 하반기 작성 예정)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8월 5일 (화)
- 05:242025년 8월 5일 (화) 05:24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역사 | 편집) [4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edirect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태그: 시각 편집
- 05:092025년 8월 5일 (화) 05:09 엔지니어링이란 (역사 | 편집) [3,73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 엔지니어링이란? == 엔지니어링은 자연과학 및 인문사회 지식을 바탕으로, 기획, 조사, 설계, 시험, 사업관리, 기술자문 등의 기술 서비스를 수행하여 제품, 시스템, 시설물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전문 기술 활동이다. 엔지니어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기본 정의 === 엔지니어링은 설계·분석·시험·사업관리 등 기술 서비스를 통해 제품, 시스템, 시설물을...)
2025년 7월 14일 (월)
- 05:482025년 7월 14일 (월) 05:48 TBM 터널 (역사 | 편집) [4,961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TBM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5:412025년 7월 14일 (월) 05:41 거가대교 (역사 | 편집) [2,69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Bridgeinfobox | 이름 = 거가대교 | 사진 = 거가대교.webp | 사진설명 = 거가대교 전경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가동 | 착공일 = 2004년 12월 | 준공일 = 2010년 12월 | 총연장 = 8,200m | 주경간 = 475m (사장교 중앙경간 기준) | 주탑높이 = 156m | 구조형식 = 침매터널 + 사장교 + 접속도로 (복합 해상교량) | 발주처 = 한국도로...)
- 05:332025년 7월 14일 (월) 05:33 침매터널 (역사 | 편집) [3,517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가덕 해저터널 침매 블록 (거가대교)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완성된 거가대교 침매터널 전경 == 개요 == '''침매터널'''(Immersed Tunnel)은 '''육상에서 제작한 터널 구조물(침매함)'''을 부력으로 운반한 후, 해저 바닥에 가라앉혀 연결하는 방식의 해저터널 시공공법이다. 짧은 거리 또는 얕은 수...)
- 05:302025년 7월 14일 (월) 05:30 NATM (역사 | 편집) [2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NATM 터널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5:182025년 7월 14일 (월) 05:18 TBM (역사 | 편집) [24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TBM 시공 개요도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① TBM 커터헤드 작동 원리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② 세그먼트 조립과 이렉터 작동 섬네일|600px|가운데정렬|③ TBM의 구조 및 유형 구분 == 개요 == '''TBM 터널'''은 TBM 공법(Tunnel Boring Machine)을 적용해 굴착된 터널을 의...)
- 05:052025년 7월 14일 (월) 05:05 ㈜유신 (역사 | 편집) [20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유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4:542025년 7월 14일 (월) 04:54 NATM 터널 (역사 | 편집) [4,02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300px|가운데정렬|NATM 시공 개요도 == 개요 == '''NATM 터널'''은 신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NATM)을 적용해 시공된 터널을 말한다. NATM은 1950년대 후반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터널 굴착 방식으로, 굴착한 지반 자체의 강도를 지지 구조물의 일부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지하철 4호선 도심구...)
- 04:462025년 7월 14일 (월) 04:46 터널 (역사 | 편집) [15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 터널 종류 == * NATM 터널 * TBM 터널 * 개착식 터널 * 비개착식 터널 * 침매터널)
- 04:452025년 7월 14일 (월) 04:45 교량 (역사 | 편집) [4,46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 교량 형식 == * 사장교 * 현수교)
- 04:282025년 7월 14일 (월) 04:28 차나칼레 대교 (역사 | 편집) [5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 (PM & CE)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4:272025년 7월 14일 (월) 04:27 사장교 (역사 | 편집) [3,45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300px|가운데정렬|[[서해대교]] 섬네일|300px|가운데정렬|[[인천대교]] 섬네일|300px|가운데정렬|[[부산항대교]] 섬네일|300px|가운데정렬|[[고덕대교]] == 사장교 == '''사장교'''(斜張橋)는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주탑에서 직접 연결된 경사 케이블**로 지지하는 형식의 교량이다...)
- 02:352025년 7월 14일 (월) 02:35 현수교 (역사 | 편집) [3,541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섬네일|[[금문교]] 섬네일|[[광안대교]] 섬네일|[[타워 브리지]] 섬네일|[[레인보우 브리지 (도쿄)|레인보우 브리지]] 섬네일|[[스토레벨트 다리]] '''현수교'''(懸垂橋)는 케이블에 의...)
- 02:262025년 7월 14일 (월) 02:26 ㈜다산컨설턴트 (역사 | 편집) [37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edirect [다산컨설턴트])
2025년 7월 10일 (목)
- 08:192025년 7월 10일 (목) 08:19 건화 (역사 | 편집) [23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edirect [(주)건화])
- 07:452025년 7월 10일 (목) 07:45 ㈜건화 (역사 | 편집) [2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주)건화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7:432025년 7월 10일 (목) 07:43 (주)건화 (역사 | 편집) [3,43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ListedcompanyInfobox | 설립 = 1990년 11월 21일 | 전신 = 건화엔지니어링 | 창업주 = 최용철 | 대표 = 최재원 | 업종 =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 기업 분류 = 중견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상장 시장 = - | 시가총액 = - | 매출액 = 3,138억원 (2024년 12월) | 영업이익 = 138억원 (2024년 12월) | 자본금 = 25억원 | 자산 총액 = 3,472억원 (2024년 12월) | 직원 = 1,054명 (2024년 말 기준) | 소재...)
- 07:292025년 7월 10일 (목) 07:29 (주)한국종합기술 (역사 | 편집) [3,723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ListedcompanyInfobox | 설립 =1963년 1월 21일 | 전신 =대한민국 건설부 기술단 | 창업주 =대한민국 정부 (초대 사장: 박동진) | 대표 =강현수 | 업종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 기업 분류 =중견기업 | 상장 여부 =상장기업 | 상장 시장 =코스피 | 시가총액 =2,266억원(2025년 6월 30일) | 매출액 =3,681억원(2024년 12월) | 영업이익 =116억원(2024년 12월) | 자본금 =200억원 | 자산 총액 =4,460억...)
- 07:062025년 7월 10일 (목) 07:06 (주)유신 (역사 | 편집) [3,667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유신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7:042025년 7월 10일 (목) 07:04 경부고속도로 (역사 | 편집) [3,034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oadInfobox | 사진 = 경부고속도로.jpg | 사진설명 = 경부고속도로 개통 사진 (서울-대전 구간) | 노선번호 = 고속국도 제1호선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 연장 = 약 416km | 기본계획 기간 = 1967년 1월 ~ 1968년 6월 | 기본설계 기간 = 1968년 6월 ~ 1968년 11월 | 실시설계 기간 = 1968년 11월 ~ 1969년 1월 | 공사기간 = 1968년 2월 1일 ~ 1970년 7...)
- 06:562025년 7월 10일 (목) 06:56 투르크메니스탄 에탄 크래커 및 PE/PP 생산시설 (역사 | 편집) [2,681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입력 필요) | 사진설명 = 투르크메니스탄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전경 | 위치 =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주 투르크멘바쉬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 발주처 = Turkmengas (투르크멘가스) | 수행사 = 현대엔지니어링㈜ | 준공일 = 2018년 12월 | 수행범위 = EPC (설계·조달·시공) 일괄수행 | 생산능력 = 연 39만 톤 (PE) / 연 8만 톤 (PP) | 주요설비 = 에탄 크래커, 폴...)
- 06:542025년 7월 10일 (목) 06:54 부천연료전지 발전사업 및 Cascade 열활용사업 (역사 | 편집) [2,512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부천연료전지 발전사업 및 Cascade 열활용사업 - 1.png | 사진설명 = 부천연료전지 및 Cascade 열활용설비 전경 | 위치 = 경기도 부천시 삼정동 363-3 (GS파워 부천사업소 내) | 발주처 = GS파워㈜ | 수행사 = ㈜한국종합기술 | 사업비 = (미공개) | 준공일 = 2020년 5월 | 수행범위 = 설계, 시공 및 통합 에너지 효율 최적화 시스템 구축 | 발전설비용량 = 연료...)
- 06:532025년 7월 10일 (목) 06:53 신월여의지하도로 (역사 | 편집) [2,60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oadInfobox | 사진 = 신월 여의지하도로 - 1.png | 사진설명 = 신월여의지하도로 내부 전경 | 노선번호 = (입력 필요) |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신월동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연장 = 약 7.53km (왕복 기준 약 15km) | 실시설계 = ㈜삼보기술단 | 발주기관 = 서울터널 주식회사 | 소관 정부부처 = 국토교통부 }} == 개요 == '''신월여의지하도로'''는 서울 강서...)
- 06:502025년 7월 10일 (목) 06:50 고덕 공공하수처리시설 (역사 | 편집) [3,49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고덕 공공하수처리시설.png | 사진설명 = 고덕 공공하수처리시설 전경 | 위치 =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궁리 289-10 (평택고덕 국제화지구 내) | 발주처 = 한국토지주택공사 | 수행사 = ㈜동일기술공사 | 설계사 = ㈜동일기술공사 | 준공일 = 2021년 7월 | 수행범위 = 설계 ~ 시공 통합공정관리, BIM 기반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 주요공종 = 하수처리 / 기...)
- 06:482025년 7월 10일 (목) 06:48 DL이앤씨 (역사 | 편집) [34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디엘이앤씨(주)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6:452025년 7월 10일 (목) 06:45 천사대교 (역사 | 편집) [4,85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BridgeInfobox | 이름 = 천사대교 | 사진 = 천사대교 - 1.png | 사진설명 = 천사대교 전경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 암태면 | 착공일 = 2010년 9월 | 준공일 = 2019년 4월 | 총연장 = 7,260m | 주경간 = 650m (현수교 중앙경간 기준) | 주탑높이 = 195m (사장교), 161m (현수교) | 구조형식 = 사장교 + 3주탑 현수교 + 거더교 (복합 해상교량) | 발주처 = 국토교통...)
- 06:412025년 7월 10일 (목) 06:41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역사 | 편집) [3,390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png | 사진설명 =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내부 전경 | 위치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양천구 일대 | 발주처 =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수행사 = ㈜건화 | 운영사 = 서울특별시 | 설계사 = ㈜건화 | 준공일 = 2020년 5월 | 수행범위 = 기본계획 ~ 실시설계 ~ 분석평가(Total Solution Provider) | 주요공종 = 수자원 / 상·하수도 / 구...)
- 06:372025년 7월 10일 (목) 06:37 보령해저터널 (역사 | 편집) [4,588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oadInfobox | 사진 = (입력 필요) | 사진설명 = 보령해저터널 전경 | 노선번호 = 국도 제77호선 | 기점 = 충청남도 보령시 산흑동(대천항) | 종점 = 충청남도 태안군 원산도리 | 연장 = 6.927km | 공사기간 = 2012년 4월 ~ 2021년 12월 | 실시설계 = ㈜태조엔지니어링, ㈜유신 | 발주기관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 소관 정부부처 = 국토교통부 }} == 개요 == '''보령해저터널'''은 충청남도...)
- 06:342025년 7월 10일 (목) 06:34 서부간선 지하도로 (역사 | 편집) [2,758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oadInfobox | 사진 = 서부간선 지하도로 - 1.png | 사진설명 = 서부간선 지하도로 전경 | 노선번호 = (입력 필요) | 기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 연장 = 10.33km | 기본계획 기간 = (미상) | 기본설계 기간 = (미상) | 실시설계 기간 = (미상) | 공사기간 = (입력 필요) | 타당성조사 = (입력 필요) | 기본계획 = (입력 필요) | 기본설계 = (입력...)
- 06:182025년 7월 10일 (목) 06:18 사우디 마덴 암모니아 플랜트 (역사 | 편집) [2,802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사우디 마덴 암모니아 플랜트 - 1.png | 사진설명 = 사우디 라스 알 카이르 액체 암모니아 플랜트 전경 | 위치 =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라스 알 카이르 시 | 발주처 = 마덴(Ma'aden, 사우디 국영 광물회사) | 수행사 = 디엘이앤씨㈜ | 운영사 = 마덴 | 설계사 = 디엘이앤씨㈜ | 사업비 = (비공개) | 준공일 = 2022년 6월 18일 | 수행범위 = EPC(설계·조달·시공...)
- 06:062025년 7월 10일 (목) 06:06 신고리 원전 3, 4호기 종합설계 (역사 | 편집) [3,345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PlantInfobox | 이름 =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4호기 | 사진 = 신고리 원전 3,4호기 종합설계.png | 사진설명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위치한 신고리 3·4호기 전경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 착공일 = 확인 필요 | 준공일 = 2019년 8월 31일 | 발전형식 = APR1400 (신형경수로 1,400MW급) | 총용량 = 2,800MW (1,400MW × 2기) | 연간발전량 = 208억...)
- 06:002025년 7월 10일 (목) 06:00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 (케이블 CE) (역사 | 편집) [5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 (PM & CE)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시각 편집
- 05:172025년 7월 10일 (목) 05:17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 (PM & CE) (역사 | 편집) [2,472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BridgeInfobox | 이름 = 차나칼레 1915 대교 | 사진 =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PM&CE).png | 사진설명 = 개통 직후인 2022년 3월 27일 모습 | 국가 = 튀르키예 | 위치 = 다르다넬스 해협 (차나칼레 ↔ 겔리볼루) | 착공일 = 2017년 3월 18일 | 준공일 = 2022년 3월 18일 | 총연장 = 4,608m | 주경간 = 2,023m | 주탑높이 = 334m | 구조형식 = 현수교 | 발주처 = 튀르키예 교통인프라부 도로청(KGM)...)
- 02:252025년 7월 10일 (목) 02:25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역사 | 편집) [6,223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InstitutionInfobox |로고 = 협회 kenca 로고.svg |로고설명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로고 |설립일 = 1974년 6월 5일 |설립근거 =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제33조 |전신 = 한국기술용역협회 |기관장 = 이해경 (회장) |표어 = 최고의 가치로 미래를 바꾸는 엔지니어링산업의 중심 |상급기관 = 산업통상자원부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남부순환로 2017 |직원수 = 약 50명 |웹사이트 = htt...)
- 02:182025년 7월 10일 (목) 02:18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역사 | 편집) [3,398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 = == 개요 ==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은 엔지니어링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체계적인 진흥을 도모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주무부처이다. 동 법은 기술인력 육성, 사업자 등록, 진흥시설 지정, 기술개발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설명 == 엔지니어링산업은 설계, 분석, 평가, 감리, 시운전 등 고부가가치 기술서비스 분...)
- 00:252025년 7월 10일 (목) 00:25 현대건설 (역사 | 편집) [2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현대건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2025년 7월 9일 (수)
- 08:552025년 7월 9일 (수) 08:55 현대종합기술개발 (역사 | 편집) [38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현대엔지니어링㈜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8:422025년 7월 9일 (수) 08:42 엔지니어링 기업 (역사 | 편집) [46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 (주)다산컨설턴트 * (주)도화엔지니어링 * (주)삼안 * 현대엔지니어링(주))
- 08:312025년 7월 9일 (수) 08:31 도화설계사무소 (역사 | 편집) [40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주)도화엔지니어링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08:212025년 7월 9일 (수) 08:21 (주)다산컨설턴트 (역사 | 편집) [3,778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ListedcompanyInfobox | 설립 =1993년 2월 24일 | 창업주 =이해경 | 대표 =이해경, 김정호, 이용주 | 업종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 기업 분류 =중견기업 |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매출액 =922억원(2024년 12월) | 영업이익 =23억원(2024년 12월) | 자본금 =18억 4천만원 | 자산 총액 =921억원 (2024년 12월) | 직원 =605명 | 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중앙로42길 5-66 (송정동, 거송...)
- 08:132025년 7월 9일 (수) 08:13 (주)삼안 (역사 | 편집) [4,683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CompanyInfobox | 설립 = 1967년 12월 30일 | 대표 = 최동식 | 업종 = 건물 및 토목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기업 분류 = 중견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기업 | 매출액 = 231,261,820,000원 (2024년 GAAP 기준) | 자산 총액 = 243,802,198,542원 (2024년 말 기준) | 직원 = 1,710명 (2024년 12월 기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87길 33, 12층 (삼성동) | 웹사이트 = http://www.samaneng.com/ |사진=삼...)
- 08:032025년 7월 9일 (수) 08:03 현대건설㈜ (역사 | 편집) [29 바이트] Nwiki (토론 | 기여) (새 문서: #Redirection 현대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