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3번째 줄: 53번째 줄:
* 「경부고속도로 건설보고서」 (건설부, 1971)
* 「경부고속도로 건설보고서」 (건설부, 1971)


---
[분류:도로]
 
필요 시 분기점, 휴게소, 상습 정체 구간, 개선사업 내용도 후속 항목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2025년 7월 10일 (목) 09:03 판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개통 사진 (서울-대전 구간)
노선번호 고속국도 제1호선
기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연장 약 416km
기본계획 기간 1967년 1월 ~ 1968년 6월
기본설계 기간 1968년 6월 ~ 1968년 11월
실시설계 기간 1968년 11월 ~ 1969년 1월
공사기간 1968년 2월 1일 ~ 1970년 7월 7일
타당성조사 국토건설종합계획에 의거 추진
기본계획 경제기획원 주도, 박정희 대통령 지시
기본설계 건설부 주관, 도로공사 설계팀
실시설계 국토건설단, 도로공사 내 설계본부
시공사 삼성건설, 현대건설, 대림산업 등 17개 국내 건설사
감리사 건설부 기술관리단
발주기관 건설부
소관 정부부처 국토교통부


개요

경부고속도로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남북을 잇는 고속도로로,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 약 416km로, 국가 산업화의 중추축이며 대한민국 고속도로망의 시발점이다. **고속국도 제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도로이다.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설계속도: 100km/h 기준으로 당시로선 획기적인 기준 적용
  • 노반 구조: 전체 구간 콘크리트 포장(초기), 일부 구간은 아스팔트 전환
  • 교량 및 터널 기술: 총 268개 교량과 23개 터널 시공, 당대 국내 시공기술 총동원
  • 공정 방식: 전구간 동시 착공 → 선형 최적화 대신 공기 단축 선택
  • 장비 및 자재: 대부분 국산 장비·자재 활용, 외자 없이 자립형 시공

추진 배경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일환으로 수도권과 남부 산업축 연결 필요성 대두
  • 서울~부산 간 기존 경부선 철도만으로는 물류 수송 한계
  • 국가 성장의 핵심 동맥으로 설정되어 박정희 대통령의 직접 지시로 추진

주요 연혁

  • 1967년: 건설계획 공식화
  • 1968년 2월: 착공 (서울~수원 구간)
  • 1969년 12월: 서울~대전, 대구~부산 구간 우선 개통
  • 1970년 7월 7일: 전 구간(서울~부산) 개통식 개최
  • 1980년대~90년대: 왕복 4차선에서 6~8차선 확장
  • 2000년대 이후: 주요 구간 복선화 및 전자요금징수체계(ETC) 도입

역사적 의미

  • 산업화 상징: 경부축을 따라 울산·대구·부산 등 공업벨트 형성
  • 정치·국민통합 상징: "한강의 기적"을 실현한 구체적 인프라
  • 대형 SOC의 시발점: 이후 영동·호남 등 고속도로 전국망 구축의 모델 제공

참고

  • 「한국도로공사 50년사」
  • 「국토교통백서」 (국토교통부)
  • 「경부고속도로 건설보고서」 (건설부, 1971)

[분류: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