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Nwiki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7월 10일 (목) 06:34 판 (새 문서: {{RoadInfobox | 사진 = 서부간선 지하도로 - 1.png | 사진설명 = 서부간선 지하도로 전경 | 노선번호 = (입력 필요) | 기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 연장 = 10.33km | 기본계획 기간 = (미상) | 기본설계 기간 = (미상) | 실시설계 기간 = (미상) | 공사기간 = (입력 필요) | 타당성조사 = (입력 필요) | 기본계획 = (입력 필요) | 기본설계 = (입력...)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서부간선 지하도로
서부간선 지하도로 전경
노선번호 (입력 필요)
기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종점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연장 10.33km
기본계획 기간 (미상)
기본설계 기간 (미상)
실시설계 기간 (미상)
공사기간 (입력 필요)
타당성조사 (입력 필요)
기본계획 (입력 필요)
기본설계 (입력 필요)
실시설계 ㈜유신
시공사 (입력 필요)
감리사 (입력 필요)
발주기관 서서울 도시고속도로㈜
소관 정부부처 국토교통부


개요

서부간선 지하도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과 금천구 독산동을 연결하는 연장 10.33km의 대심도 지하도로로, 국내 최초로 건설된 도심형 지하 고속도로이다. ㈜유신이 실시설계를 수행하였으며, 2021년 9월 1일 준공되었다.

본 도로는 통행시간을 기존 약 30분에서 10분으로 대폭 단축시켜 서울 서남부 지역의 상습 정체를 해소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지상부 공간의 공원화를 통해 도시환경 개선 및 주민 삶의 질 향상에도 이바지하였다.

개발 배경 및 목적

  • 서부간선도로의 만성적인 교통체증 해소
  • 지상 교통 흐름 분산 및 도시녹지 확장
  • 지하도로 운영의 민간투자사업(BTO) 모델 실증

주요 특징

  • 국내 최초 대심도 지하도로

총 연장 10.33km, 왕복 4차로 규모의 도심형 지하 고속도로로서, 복잡한 도심 교통 흐름을 지하로 분산

  • 최신 기술 도입 및 이용자 편의 향상

지하도로 최초로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적용, 4개소의 바이패스 공기정화시설 설치

  • 고난이도 시공공법 적용

NATM(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 도입을 통해 안정적 굴착 및 구조안정성 확보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국내 대심도 지하도로 설계기준 부재 상황에서 선행 해외사례 및 기술기준을 조사·적용
  • 도시밀집지역 하부 시공에 따른 복잡한 지질·교통조건을 고려한 최적설계 수행
  • 추후 국내 지하도로 설계기준 및 지침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수상명 : 우수상
  • 기업명 : ㈜유신
  • 대표자 : 박석성
  • 발주처 : 서서울 도시고속도로㈜
  • 준공일 : 2021년 9월 1일
  • 현장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 금천구 독산동
  • 프로젝트 개요 : 국내 최초 대심도 지하도로 설계 수행.
 - 도심 교통 효율 향상  
 - 설계기준 부재 극복 및 지침 정립 기반 마련  
 - 친환경·스마트 기술 적용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