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투르크메니스탄 에탄 크래커 및 PE/PP 생산시설: 두 판 사이의 차이

Engineering Wiki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사진설명 = 투르크메니스탄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전경
| 사진설명 = 투르크메니스탄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전경
| 위치 =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주 투르크멘바쉬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 위치 =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주 투르크멘바쉬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 발주처 = [[Turkmengas (투르크멘가스)]]
| 발주처 = Turkmengas (투르크멘가스)
| 설계사 = [[현대엔지니어링㈜]]
| 설계사 = [[현대엔지니어링㈜]]
| 준공일 = 2018년 12월
| 준공일 = 2018년 12월

2025년 7월 11일 (금) 04:43 판

투르크메니스탄 에탄 크래커 및 PE/PP 생산시설
투르크메니스탄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전경
위치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주 투르크멘바쉬 키얀리 석유화학단지
발주처 Turkmengas (투르크멘가스)
설계사 현대엔지니어링㈜


준공일 2018년 12월
수행범위 EPC (설계·조달·시공) 일괄수행
대표설비 에탄 크래커,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생산 라인
기술적 특징 사막지대 대형 석유화학 EPC, 고온·고압 공정 설계
수상내역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우수상
소관 정부부처 (정보 없음)


개요

투르크메니스탄 에탄 크래커 및 PE/PP 생산시설은 현대엔지니어링이 투르크멘가스(State Concern “Turkmengas”)의 발주를 받아 EPC 전 공정을 수행한 해외 석유화학 플랜트 프로젝트이다. 카스피해 연안에서 채취된 천연가스를 이송하여 에탄을 분리한 후, **에탄크래킹 → 에틸렌/프로필렌 생성 → 고체 PE/PP 생산**으로 이어지는 **일관 공정형 석유화학 시설**이다.

주요 특징

  • 생산설비 구성
 - 에탄 크래커 및 프로필렌/에틸렌 분리설비
 - 고체 폴리에틸렌(PE) 연 39만 톤, 폴리프로필렌(PP) 연 8만 톤 생산
 - 전량 수출 기반 구축으로 투르크메니스탄의 전략산업 육성에 기여
  • 난이도 높은 해외 프로젝트 대응력
 - 설계기준 차이 및 잦은 변경 요청 → 사전 협의 기반 유연 대응
 - 현지 기술자 확보 어려움 → 용접사 학교 운영 통한 인력 양성
 - 열악한 도로 사정 → 철저한 물류계획으로 기자재 운송 및 설치 적기 달성
  • 성과
 - 무재해 준공, 공기단축, 품질기준 충족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사의 글로벌 역량 입증 및 향후 중아·중동 플랜트 수주 교두보 확보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수상명 : 우수상
  • 기업명 : 현대엔지니어링㈜
  • 대표자 : 홍현성
  • 발주처 : 투르크멘가스 (Turkmengas)
  • 준공일 : 2018년 12월
  • 현장소재지 : 투르크메니스탄 발칸주 투르크멘바쉬 키얀리 석유화학 단지 (수도 아슈하바드에서 북서쪽 약 500km)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