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2번째 줄: 52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 [[도시방재]]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건화]]
* [[㈜건화]]


[[분류:도시방재]]
[[분류:하천]]
[[분류:수자원]]
[[분류:지반]]
[[분류:하수도]]
[[분류:서울특별시]]
[[분류:엔지니어링 수상작]]
[[분류:㈜건화 프로젝트]]

2025년 7월 10일 (목) 06:42 기준 최신판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 내부 전경
위치 서울특별시 강서구 ~ 양천구 일대
발주처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설계사 ㈜건화


준공일 2020년 5월
수행범위 기본계획 ~ 실시설계 ~ 분석평가(Total Solution Provider)
대표설비 유입수직구(3개소), 유도수문, 자동제어계측 시스템
기술적 특징 대심도 방재터널, 전구간 터널화, 30년 빈도 강우 대응, 민원 최소화 설계
수상내역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대상
소관 정부부처 서울특별시


개요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은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일대를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의 대심도 방재 전용 터널 시스템으로, 시간당 100mm 이상의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형 방재 인프라다. 2020년 5월 준공되었으며, 2022년 8월 집중호우 당시 침수 방지 효과를 입증하여 서울시 방재계획의 대표 모델로 평가받는다.

설계·시공은 ㈜건화가 주도하였으며, 기본계획부터 실시설계, 분석·평가까지 전 과정에서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주요 특징

  • 국내 최초 대심도 빗물저류터널

전 구간을 터널화한 구조로 도시 지상부의 교통·환경·민원 이슈를 동시에 해결하면서도, 안정적 유입 및 유출 제어 기능 확보

  • 분산형 유입수직구 + 유도수문 도입

강우 집중 시 급격한 유입에 대비하기 위해 수직구를 3개소에 분산 배치하고, 유도수문 제어로 통수능 향상

  • 30년 빈도, 시간당 100mm 강우 대응

수문학적 분석 기반으로 설계되어 기후위기 시대에 적합한 방재 대응 역량을 확보

  • 도시형 방재 인프라 표준모델

서울시의 향후 대심도 빗물저류시설 5개소 확대 추진의 기반 모델로 채택됨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구조, 토질, 수자원, 전기·제어 등 모든 공종을 통합한 도시형 종합 방재 시스템 구현
  • 단일 기업(건화)이 전 구간 설계를 수행하며 고난도 방재설계 역량을 검증
  • 서울 도심의 침수 문제에 대한 실질적 대응 방안으로 기능
  • 2022년 8월 기록적 호우에서도 무사히 대응 → 방재 효과 실증

2023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 수상명 : 대상
  • 기업명 : ㈜건화
  • 대표자 : 홍경표
  • 발주처 :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 준공일 : 2020년 5월
  • 현장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양천구 일대
  • 프로젝트 개요 : 국내 최초 대심도 빗물저류터널 설계 및 방재 시스템 구축. 도시 침수 방지의 실증적 사례로 기능하며, 서울시 방재계획의 표준모델로 채택됨.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