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시공 순서 ==
== 시공 순서 ==
1. 천공 및 발파 (또는 기계 굴착)
* 천공 및 발파 (또는 기계 굴착)
2. 천단부 및 측벽 숏크리트 타설
* 천단부 및 측벽 숏크리트 타설
3. 락볼트 및 강지보 설치
* 락볼트 및 강지보 설치
4. 방수막 설치 (필요 시)
* 방수막 설치 (필요 시)
5.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6. 지중 및 내공 계측 실시
* 지중 및 내공 계측 실시


== 특징 ==
== 특징 ==
38번째 줄: 38번째 줄:
== 다른 공법과의 비교 ==
== 다른 공법과의 비교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구분 !! NATM !! [[TBM]] !! [[침매터널]]
! style="background:#f2f2f2;" | '''구분'''
! style="background:#ffe5e5;" | NATM
! style="background:#eeeeee;" | [[TBM]]  
! style="background:#e5f0ff;" | [[침매터널]]
|-
|-
| 시공 방식 || 현장 발파 또는 기계굴착 후 지보재 설치 || 원형 굴착기로 굴진 및 라이닝 동시 시공 || 제작 세그먼트를 수중에 가라앉혀 연결
| style="background:#f2f2f2;" | '''시공 방식'''
| style="background:#ffe5e5;" | 현장 발파 또는 기계굴착 후 지보재 설치  
| style="background:#eeeeee;" | 원형 굴착기로 굴진 및 라이닝 동시 시공  
| style="background:#e5f0ff;" | 제작 세그먼트를 수중에 가라앉혀 연결
|-
|-
| 선형 유연성 || 높음 || 낮음 || 낮음
| style="background:#f2f2f2;" | '''선형 유연성'''
| style="background:#ffe5e5;" | 높음  
| style="background:#eeeeee;" | 낮음  
| style="background:#e5f0ff;" | 낮음
|-
|-
| 시공 환경 || 대부분 가능 (산악·도심 등) || 직선·단순 선형에 적합 || 수중 또는 해저 구간 전용
| style="background:#f2f2f2;" | '''시공 환경'''
| style="background:#ffe5e5;" | 대부분 가능 (산악·도심 등)  
| style="background:#eeeeee;" | 직선·단순 선형에 적합  
| style="background:#e5f0ff;" | 수중 또는 해저 구간 전용
|-
|-
| 적용 예시 || [[보령해저터널]], [[인제터널]] || [[GTX B]]노선, 대심도 하수터널 || [[거가대교]] [[해저터널]]
| style="background:#f2f2f2;" | '''적용 예시'''
| style="background:#ffe5e5;" | [[보령해저터널]], [[인제터널]]  
| style="background:#eeeeee;" | [[GTX B]]노선, 대심도 하수터널  
| style="background:#e5f0ff;" | [[거가대교]] [[해저터널]]
|}
|}


72번째 줄: 87번째 줄:
* [[교량 형식]]
* [[교량 형식]]


[[분류:터널]]
[[분류:엔지니어링 용어]]

2025년 7월 14일 (월) 05:57 기준 최신판

NATM 시공 개요도
① NATM 1Cycle 시공 순서(현대건설)
② NATM 장약~2차 숏크리트 과정(현대건설)
③ NATM 2Cycle 시공 순서(현대건설)

개요

NATM 터널신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NATM)을 적용해 시공된 터널을 말한다. NATM은 1950년대 후반 오스트리아에서 개발된 터널 굴착 방식으로, 굴착한 지반 자체의 강도를 지지 구조물의 일부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 지하철 4호선 도심구간에서 최초 적용된 이후 보령해저터널, 인제터널 등 다양한 도로·철도 터널에 활용되고 있다.

공법 개요

NATM 공법은 주변 암반을 굴착한 후 숏크리트, 락볼트, 강지보(스틸 세그먼트) 등의 보조지보재로 초기 지반을 안정화시키고, 지반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구조적 안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시공 순서

  • 천공 및 발파 (또는 기계 굴착)
  • 천단부 및 측벽 숏크리트 타설
  • 락볼트 및 강지보 설치
  • 방수막 설치 (필요 시)
  •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 지중 및 내공 계측 실시

특징

  • 굴착면의 형상과 단면 크기를 유연하게 조절 가능
  • 곡선 또는 복잡한 선형 적용에 유리
  • 기계화율이 높아 적은 인원으로 대형 단면 시공 가능
  • 암반 강도와 특성에 따라 유연한 지보 패턴 적용 가능

장점

  • 지반조건 변화에 대한 적응력 우수
  • 시공단면 크기 조절 용이 → 대단면 터널 시공 적합
  • 곡선 시공 및 복잡한 지형에 적용 가능
  • 경제성과 범용성 우수

단점

  • 발파 시 소음·진동 발생 → 도심지 민원 유발
  • 발파 가스·분진 등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열악함
  • 공정 복잡, 계측 및 설계 전문성 필요
  • 소규모 단면 시 경제성 떨어짐

다른 공법과의 비교

구분 NATM TBM 침매터널
시공 방식 현장 발파 또는 기계굴착 후 지보재 설치 원형 굴착기로 굴진 및 라이닝 동시 시공 제작 세그먼트를 수중에 가라앉혀 연결
선형 유연성 높음 낮음 낮음
시공 환경 대부분 가능 (산악·도심 등) 직선·단순 선형에 적합 수중 또는 해저 구간 전용
적용 예시 보령해저터널, 인제터널 GTX B노선, 대심도 하수터널 거가대교 해저터널

계측 항목

NATM은 계측 기반 설계를 통해 시공 중 구조물 안정성을 검토한다.

  • 지표침하
  • 천단침하
  • 지중변위
  • 내공변위
  • 락볼트 축력
  • 숏크리트 응력
  • 발파 진동 및 소음

국내 적용 사례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