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닫기
환경 설정 메뉴 여닫기
개인 메뉴 여닫기
로그인하지 않음
지금 편집한다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될 수 있습니다.
새 문서: {{PlantInfobox | 사진 = 스마트상수도 구축사업.png | 사진설명 = 전국 상수도 관리체계 디지털화 개요도 (도화엔지니어링 제공) | 위치 = 전국 161개 지자체 중 1권역 (수도권 중심의 56개 수도사업소) | 발주처 = 환경부 | 수행사 = ㈜도화엔지니어링 | 준공일 = 2021년 06월 30일 | 수행범위 = 상하수도, 도시계획, 수질관리 등 | 대표설비 = 스마트 수질감시 시스템, 위기대응 체계...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lantInfobox
{{Waterandwasteinfobox
| 사진 = 스마트상수도 구축사업.png
| 사진 = 우수상 (주)도화엔지니어링.jpg
| 사진설명 = 전국 상수도 관리체계 디지털화 개요도 (도화엔지니어링 제공)
| 사진설명 = 전국 상수도 관리체계 디지털화 개요도 (도화엔지니어링 제공)
| 위치 = 전국 161개 지자체 중 1권역 (수도권 중심의 56개 수도사업소)
| 위치 = 전국 161개 지자체 중 1권역 (수도권 중심의 56개 수도사업소)
| 발주처 = 환경부
| 발주처 = 환경부
| 수행사 = ㈜도화엔지니어링
| 설계사 = ㈜도화엔지니어링
| 준공일 = 2021년 06월 30일
| 준공일 = 2021년 06월 30일
| 수행범위 = 상하수도, 도시계획, 수질관리 등
| 수행범위 = 상하수도, 도시계획, 수질관리 등
| 대표설비 = 스마트 수질감시 시스템, 위기대응 체계 등
| 대표설비 = 스마트 수질감시 시스템, 위기대응 체계 등
| 수상내역 =  
| 기술적 특징 = ICT 기반 통합 운영체계 구축, 수질사고 사전 예방 및 대응 강화
| 수상내역 =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우수상
| 소관 정부부처 = 환경부
| 소관 정부부처 = 환경부
}}
}}


== 개요 ==
== 개요 ==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은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기반의 인프라 고도화 프로젝트이다. (주)도화엔지니어링이 참여한 이 사업은 환경부가 발주하여 전국 161개 지자체 중 수도권 중심 1권역(56개 수도사업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은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기반의 인프라 고도화 프로젝트이다. [[(주)도화엔지니어링]]이 참여한 이 사업은 환경부가 발주하여 전국 161개 지자체 중 수도권 중심 1권역(56개 수도사업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 개발 배경 및 목적 ==
== 개발 배경 및 목적 ==
23번째 줄: 24번째 줄:
== 주요 특징 ==
== 주요 특징 ==
* '''기술 기반 기본계획 수립'''
* '''기술 기반 기본계획 수립'''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전략 수립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전략 수립


* '''수질감시·위기대응 체계 구축'''
* '''수질감시·위기대응 체계 구축'''
  수질감시 및 사고 대응에 필요한 10가지 핵심기술을 적용하여 예방과 대응 체계 강화
수질감시 및 사고 대응에 필요한 10가지 핵심기술을 적용하여 예방과 대응 체계 강화


* '''경제적 손실 최소화'''
* '''경제적 손실 최소화'''
  수질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 인프라의 회복 속도 향상
수질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 인프라의 회복 속도 향상


* '''통합 운영 및 신뢰도 제고'''
* '''통합 운영 및 신뢰도 제고'''
  상수도 시스템의 통합성과 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공공신뢰도 확보
상수도 시스템의 통합성과 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공공신뢰도 확보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2025년 7월 11일 (금) 08:27 기준 최신판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
전국 상수도 관리체계 디지털화 개요도 (도화엔지니어링 제공)
위치 전국 161개 지자체 중 1권역 (수도권 중심의 56개 수도사업소)
발주처 환경부



설계사 ㈜도화엔지니어링


준공일 2021년 06월 30일
수행범위 상하수도, 도시계획, 수질관리 등
대표설비 스마트 수질감시 시스템, 위기대응 체계 등
기술적 특징 ICT 기반 통합 운영체계 구축, 수질사고 사전 예방 및 대응 강화
수상내역 2024년 대한민국 엔지니어링 대상 우수상
소관 정부부처 환경부


개요

스마트 상수도 구축사업은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기반의 인프라 고도화 프로젝트이다. (주)도화엔지니어링이 참여한 이 사업은 환경부가 발주하여 전국 161개 지자체 중 수도권 중심 1권역(56개 수도사업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개발 배경 및 목적

  •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상수도 운영관리 체계 개선
  • 수질 사고의 사전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기술기반 마련
  • 상수도 인프라의 회복력 제고 및 효율적 유지관리
  • 공공신뢰도 향상 및 지속 가능한 상수도 운영 기반 확보

주요 특징

  • 기술 기반 기본계획 수립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전국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전략 수립

  • 수질감시·위기대응 체계 구축

수질감시 및 사고 대응에 필요한 10가지 핵심기술을 적용하여 예방과 대응 체계 강화

  • 경제적 손실 최소화

수질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 인프라의 회복 속도 향상

  • 통합 운영 및 신뢰도 제고

상수도 시스템의 통합성과 데이터 기반 운영으로 공공신뢰도 확보

기술적·엔지니어링적 의의

  • ICT 기반 상수도 관리 체계 수립 사례
  • 수질관리 자동화 및 실시간 대응체계 구축
  • 상하수도, 도시계획, 수질분석 등 다학제적 기술 융합
  • 대규모 광역 지자체 대상 스마트 인프라 구축 경험 확보